오늘은 삼킴장애(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NMES)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삼킴장애는 음식이나 액체를 삼키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증상으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 중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치료가 바로 NMES(신경근 전기자극치료)입니다.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는 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근육의 근력 강화, 경련 감소, 위축 예방, 근육 재교육 등과 같이 기능 강화를 위해 적용돼요. NMES가 어떤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적용하는지, 그리고 주의해야 할 사항과 부작용까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신경근 전기자극치료(NMES,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1. 신경근 전기자극치료의 효과
- 임상적 효과: 신경근 전기자극치료가 임상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효과에 대한 근거는 미흡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
- 생리학적 효과: 근육의 수축성 단백질의 증가, 유산소 능력에 사용되는 효소들의 증가, 미토콘드리아의 크기와 수 증가, 모세혈관의 밀도 증가 등이 보고되고 있음
2.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대상
① 뇌졸중
: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적용하는 가장 주된 질환임
: 구강과 인두 기능의 향상, 기도로 흡인되는 정도의 감소, 삼킴장애 정도 감소, 식이 섭취량 증가 등의 효과가 있음
② 두경부암
: 비안두암, 혀암 등을 비롯한 두경부암 환자의 삼킴기능 개선을 위해 적용됨
: 방사선치료와 함암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 적용한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
③ 신경근육 관련 질환
: 파킨슨병, 다발경화증, 뇌염 등 다양한 질환의 삼킴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적용됨
3.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적용방법
★ 적용 순서
① 전극을 부착할 위치 선정하기
② 부착할 위치의 피부 상태를 확인 후 알콜솜으로 이물질 제거하기
③ 전극이 겹쳐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목표하는 위치의 피부 표면에 밀착되도록 전극을 부착하기
④ 전극이 떨어지지 않도록 테이프, 붕대 등의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을 고정시키기
⑤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면서 치료적 단계까지 전기자극의 강도를 서서히 높이기
⑥ 전기자극이 느껴질 때나 침이나 음식을 섭취하거나 삼킴 기능 강화를 위한 운동을 함께 적용하기
단, 전기 자극시 환자의 반응이 찌르는 느낌, 쪼이는 느낌, 타는 느낌 등과 같은 통증이 발생한다면 전기자극치료를 중단 후 전극의 부착 상태를 재확인하기!
★ 전극 부착 위치
① 턱 밑 부위 자극
: 목뿔뼈 위쪽 턱 밑 부위에 수평방향으로 부착하는 방법 / 아래턱각과 턱 끝의 중간 지점, 턱 끝과 목뿔뼈 가장자리의 중간 지점에 대칭으로 부착하는 방법 / 턱 밑 부위에 수평방향으로 부착하는 방법
② 목뿔뼈와 방패연골 주변 자극
: 2개의 채널을 수평방향으로 부착하는 방법 / 채널1은 목뿔뼈 위쪽에 수평방향으로 붙이고 채널2는 방패연골 위, 아래에 수직방향으로 부착하는 방법
③ 목뿔뼈, 방패연골, 반지연골 주변 자극
: 채널1은 목뿔뼈를 기준으로 위, 아래에 목뿔뼈 위쪽과 목뿔뼈와 방패연골 사이에 부착하고, 채널2는 채널1과 대칭으로 아래쪽 수직방향으로 부착하면서 방패연골과 반지연골을 자극하는 방법
④ 얼굴과 목뿔뼈 주변 자극
: 입둘레근과 깨물근을 자극하기 위해 양쪽 입술 끝에 전극을 1개씩 부착하고, 턱목뿔근과 방패목뿔근을 자극하기 위해 목뿔뼈의 위, 아래에 수직방향으로 부착하는 방법
⑤ 방패연골 아래 자극
: 채널1과 채널2를 방패연골 아래에 수평방향으로 부착하여 목뿔아래근을 자극함으로써 저항운동 적용한 방법
★ 적용 강도
: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면서 치료적 단계까지 전기자극의 강도를 서서히 높임
: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아래의 표와 같은 느낌을 순차적으로 느끼게 됨
강도 ↑ | 감각 | 감각 | 감각 | 운동 |
따끔거리며 얼얼한 느낌 | 떨림 | 따뜻하면서 타는듯한 느낌 | 목이 움켜지는 느낌 | |
환자 반응 → |
환자의 반응 중 따끔거리며 얼얼한 느낌, 떨림, 따뜻하면서 타는 듯한 느낌은 신경근 전기자극치료가 감각역치자극까지 적용되는 단계이고, 목이 움켜지는 느낌은 운동역치자극까지 적용되는 단계임
- 감각역치자극까지 적용할 경우: 삼킴과 관련된 감각신경로를 자극하여 대뇌겉질의 재조직화를 유도함으로써 삼킴반응을 유도하고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인두를 통과하는 음식에 대한 감각 인식을 향상시켜 더 강하고 빠른 삼킴반사를 유도할 수 있음
- 운동역치자극까지 적용할 경우: 근위축을 예방할 수 있고, 근수축을 통해 삼킴과 관련된 근육을 강화하여 삼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
▲ 대부분의 연구에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때 전기자극의 강도를 환자가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근수축이 일어나는 운동역치자극까지 높여 적용하고 있음.
▲ 운동역치자극과 감각역치자극을 비교한 연구들에서는 운동역치자극으로 강도를 적용하였을 때 혀 기저부와 아래 인두의 압력, 음식덩이가 통과하는 힘, 인두 부위의 잔여물, 목뿔뼈의 움직임 속도, 목뿔후두복합체의 움직임, 상부식도조임근의 열림 시간이 감각역치자극으로 강도를 적용할 때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고 보고하고 있음.
★ 적용 기간
: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는 목적에 따라 기간을 정하여 적용됨
: 환자의 상태, 염증, 상처 등의 문제로 치료가 중단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목적했던 삼킴장애가 개선될 때까지 적용됨
: 회당 30~60분 동안 한 주에 3~5회씩 2~4주간 시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사례 보고로 진행된 연구에서는 60분씩 주 3~5회 동안 삼킴장애가 개선될 때까지 적용하였음
4.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효과 극대화하는 방법
: 신경근 전기자극치료 적용 시, 능동적 운동을 함께하면 치료의 효과가 더 커지게 됨
: 신경근 전기자극치료가 적용되는 동안 혀의 근력 운동, 후두 거상 운동, 노력삼킴, 멘델슨 수기, 마사코 수기, 샤케어 운동 등과 같은 훈련을 단계적 저항 훈련으로 시행할 수 있고, 감각되먹임치료로 온도촉각자극 치료를 함께 적용할 수 있음
삼킴장애를 위한 치료 접근법2 (운동기법)
안녕하세요.새로운 한 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저번 시간에는 삼킴장애를 위한 촉진기법의 주제로감각자극법과 반사조절 치료법에 대해서 알려드렸었는데요.이번 시간에는 추가로 삼킴장애
otjung2352.co.kr
5. 신경근 전기자극치료의 주의사항 및 부작용
: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적용하기 전에 환자가 삽입형 제세동기 또는 심박조율기를 가지고 있는지, 경련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함

삼킴장애를 위한 삼킴치료 기법 5가지
안녕하세요!오늘 포스팅에선 삼킴장애(연하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들을 위한 다양한 삼킴치료 기법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삼킴장애는 음식물을 입에 넣고 삼키는 과정에 어려움을 겪
otjung2352.co.kr
지금까지 삼킴장애 환자를 위한 NMES의 효과와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NMES는 적절한 방법으로 활용하면 삼킴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하에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삼킴장애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이라면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 후 치료법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건강과 재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오늘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 > 삼킴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킴장애를 위한 치료 접근법2 (운동기법) (41) | 2025.01.15 |
---|---|
삼킴장애를 위한 치료 접근법1 (촉진기법) (44) | 2025.01.07 |
삼킴장애를 위한 액체 및 고체 식이변형 (56) | 2024.12.01 |
삼킴장애 환자를 위한 음식덩이 변형 5가지(점도, 질감, 크기, 맛, 온도) (70) | 2024.11.12 |
삼킴장애를 위한 삼킴치료 기법 5가지 (33) | 2024.10.26 |